루돌프와 순록들이 산타클로스와 팀을 이루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일단 그들이 함께하자 막을 수가 없었다.
순록이 없는 산타클로스는 상상도 할 수 없다. 덥수룩한 흰 수염, 빨간 코트, 선물 자루만큼이나 순록은 산타클로스 캐릭터의 일부다. 썰매를 끄는 순록이 없었다면 산타는 어떻게 돌아다닐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크리스마스 전날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한밤중에 찾아올 루돌프를 위해 당근을 남겨두기도 했다. 산타가 순록을 탄 지 얼마나 되었는지, 밤에 썰매를 타는 것이 종교 개혁, 이주, 문화 교류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는 알지 못한 채.
성 니콜라스
원래 산타클로스는 순록이나 크리스마스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의 이야기는 4세기경, 현재 터키에 위치해 있는 미라(Myra)의 주교였던 성 니콜라스로부터 시작된다. 비록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전해져오는 몇 안 되는 이야기는 어린이에 대한 사랑과 관대함을 증언한다. 수도원장 미카엘에 따르면 그는 모든 재산을 잃고 세 딸에게 지참금조차 줄 수 없는 남자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는 딸들이 결혼할 수 없고, 생계를 위해 매춘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뜻이었다. 당연히 성 니콜라스는 그들을 돕고 싶었지만, 공개적으로 자선을 베풀어 그들을 부끄럽게 하고 싶지는 않았다. 이를 피하고자 그는 밤늦게 그 집에 몰래 다가가 창문으로 금화가 든 주머니를 던졌다. 다음 날 아침 주머니를 발견하고 깜짝 놀란 아버지는 곧장 맏딸을 위한 남편을 찾았다. 다음 날 밤에도 성 니콜라스는 또다시 같은 일을 했다. 하지만 세 번째 밤에 성 니콜라스는 잠에서 깬 아버지에게 들키고 말았다. 아버지는 무릎을 꿇고 성인을 가족의 구세주로 칭송했지만, 성 니콜라스는 그를 일으켜 세우고 자신이 준 축복에 대해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간청했다.
이런 관대함 덕분에 성 니콜라스의 축일(12월 6일)은 이후 선물을 주고받는 날로 기념되었다. 12세기 프랑스에서는 수녀들이 가난한 아이들의 집 앞에 과일, 견과류, 간식을 두고 갔다고 전해진다. 대략 같은 시기에, 성 니콜라스는 마법의 선물을 주는 사람으로 변모했다. 특히 네덜란드어권 지역에서는 '신터클라스(Sinterklass: 산타클로스의 네덜란드어 표기)’가 가난한 사람들의 집에 몰래 들어가 신발 속에 몇 개의 동전이나 작은 선물을 남겼다.
그래서인지 그는 길고 밝은색의 예복과 미트라(주교 모자), 그리고 수염을 기른 주교로 묘사되었다. 또한 그는 하늘을 날며 눈에 보이지 않는 기묘한 재주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때때로 성 니콜라스는 특정 동물과 함께하기도 했다. 네덜란드에서는 그의 말을 위해 건초를 남겨두는 전통이 있었고, 독일의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말을 타고 다니며, 프랑스 동부에서는 당나귀가 운반하는 바구니에 선물을 싣고, 이탈리아에서는 종종 유쾌한 당나귀와 함께 나타났다.
하지만 순록에 대한 언급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여기엔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순록은 한때 유럽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면서 서식지가 줄어들어 주로 스칸디나비아 북부와 우랄산맥에만 국한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테오프라토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플리니우스가 몇 번 간략하게 언급한 것 외에는 1533년에야 스웨덴의 구스타프 1세가 프로이센의 알버트 1세에게 보낸 선물로 열 마리의 순록이 등장한다. 4세기 소아시아 주교와 순록을 연결할 만한 기록은 전혀 없다.
종교개혁
종교개혁은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유일한 중보자라는 마르틴 루터의 주장에 따라 대부분의 초기 개신교도는 가톨릭의 성인 숭배를 단호히 거부했다. 거룩한 삶을 산 이들이 기독교 미덕의 모범으로 여겨져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했지만, 누구든지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하나님과 중보할 수 있다는 것을 거부했고, 성인 숭배를 우상 숭배의 한 형태로 간주했다. 따라서 신이 아닌 인간을 향한 어떠한 형태의 예배나 축하는 적극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더라도 권장되지는 않았다.
이는 성 니콜라스에게 문제가 되었다. 그는 루터교 예배 달력에 포함될 만큼 충분히 고결한 인물로 여겨졌지만, 그의 축일을 기념하는 전통적인 축제는 분명 의심스러웠다. 아마도 그냥 금지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었겠지만, 루터는 선물을 주는 것이 축제 기간의 중점이 되었기 때문에 이것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어려울 것이라는 걸 깨달을 만큼 현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루터는 단순히 그 관행을 크리스마스 날 당일로 옮기고 대신 인류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인 그리스도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렇다고 해서 사람들이 이날을 화려하게 축하하는 것을 멈춰 세울 수는 없었지만, 그때부터 선물은 성 니콜라스가 아닌 보통 날개와 후광이 있는 밝은 옷차림의 유아로 묘사되는 ‘그리스도인’ 또는 ‘그리스도 아이’가 가져다주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개신교 지역에서도 성 니콜라스의 유산은 비록 변형되기는 했지만 계속 이어졌다. 영국에서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이미 ‘성 니콜라스’를 모델로 한 ‘아버지 크리스마스’가 성탄절 정신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졌으며, 조지아 킹(1)의 ‘성탄절의 시험과 재판’(1686) 판화에서 알 수 있듯이 성 니콜라스는 일반적으로 무거운 모피 안감 코트와 뾰족한 미트라 모양의 모자, 수염을 가진 건장한 남성으로 묘사되었다. 벨기에와 프랑스 일부 지역에서는 ‘드 케르스트만(de Kerstman)’ 또는 ‘페르 노엘(Père Noël)’’이 비슷한 역할을 맡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그에게는 순록이 없었다.
이주
수년 동안 성 니콜라스와 ‘아버지 크리스마스’는 별개의 전통으로 존속했다. 알자스나 네덜란드 일부 지역처럼 가톨릭과 개신교가 가까이 살고 있는 일부 지역에서는 각 인물이 축제 행사에서 특정한 역할을 맡았고, 일반적으로 가톨릭과 개신교의 분열은 두 인물을 구별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하지만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난 인구학적 변화로 인해 두 종교가 합쳐지기 시작했다. 독립전쟁 이후, 미국은 이민이 급격히 증가했다. 대부분의 새로운 이민자들은 영국, 독일, 네덜란드에서 왔으며 개신교도 또는 비국교도(영국 국교회를 따르지 않는)였다. 1780년까지 뉴욕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저지대 국가(2) 출신인 것으로 추정되며 뉴저지, 델라웨어, 펜실베이니아에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이 많았다. 1790년 이후에는 나폴레옹 전쟁의 혼란으로 인해 이민 유입이 다소 둔화하였지만 1830년대에 이르러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 후 20년 동안 수많은 아일랜드 가톨릭교도가 이주했다.
처음에는 다양한 이민지 집단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크리스마스를 축하했던 것 같다. 일부 엄격한 비국교도들은 지나치게 ‘이교도적인’ 축하 행사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다른 사람들, 특히 뉴욕의 네덜란드인들은 술에 취하고, 성적인 일탈을 일삼으며 엄청난 향락에 빠져들었다. 더 중요한 것은 선물을 주는 전통이 보존된 집단에서 아이들에게 선물을 주는 인물에 대한 구체적이고 일관된 개념이 없었고, 그가 언제 왔는지도 명확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초기 미국이라는 용광로에서 크리스마스 전통은 필연적으로 뒤섞일 수밖에 없었다. 관습과 개성이 점차 융합되고, 오랫동안 분리되어 있었던 아이디어가 재결합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많은 부분이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졌을 수도 있지만, 일부 이주민 집단의 과도한 축하를 억제하려는 노력에 의해 장려되었을 수도 있다. 먼저, 네덜란드의 ‘신터클라스’가 영어로 ‘번역’되어 ‘산타클로스’가 되었다. 이는 1773년 12월 26일 <뉴욕 가제트>에 실린 보도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 후 수십 년이 지난 후, 산타클로스는 영국의 ‘크리스마스 정신’과 동일시되어 시끌벅적한 축하 행사를 좋아하는 네덜란드 사회와의 연관성이 사라졌다. 때때로 산타는 여전히 자신의 옛 이름 중 하나 또는 유럽의 유사한 인물인 (크리스 크링글Kris Kringle. 그리스도 아기를 상징하는 천사 모습의 아이)로 불렸지만, 그의 특성과 방식은 오늘날 알고 있는 산타에 가까운 존재로 인식되었다.
산타는 워싱턴 어빙의 <니커보커의 뉴욕 역사>(1809)에서 데뷔한 것으로 보인다. 뉴욕의 역사를 허구와 풍자적으로 묘사한 이 책에서 산타는 뚱뚱한 네덜란드인으로 묘사되었으며, ‘낮고 넓은 챙의 모자, 거대한 플랑드르식 바지, 긴 파이프’를 착용하고, 선물이 가득한 ‘마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질렀다. 그러나 1821년 뉴욕에서 출판된 <아이들의 친구: 다섯 살에서 열두 살까지 어린이들을 위한 새해 선물>이 나올 때까지 순록은 등장하지 않았다. 이 흥미로운 작은 책에 실린 한 시는 다음과 같은 운명적인 구절로 시작된다.
큰 기쁨으로 늙은 산테클라우스는
서리가 내려앉은 밤에 그의 순록을 몰고
굴뚝 위와 눈 덮인 곳을 지나
매해 선물을 가져다주네.
이 익명의 저자가 순록을 소개한 이유는 수수께끼다. 한 가지 가능성은 단순히 날씨 때문일 수 있다.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릴 가능성은 늘 이었지만, 지난 10년 동안 기록적인 추위가 이어졌다. 1811년 12월 24일, 노아 웹스터는 뉴헤이븐에 1피트 이상의 눈이 내렸다고 보고했고, 여름이 없는 해로 기록되는 1816년에는 6월에도 눈이 내렸다. 1820~21년의 겨울은 특히 혹독했다. 뉴욕에서는 허드슨강이 얼어붙었고, 도시 전체가 폭설에 파묻혔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교통수단이 불가능했지만, 지역 역사가 제임스 맥컬리가 훗날 회상했듯이 ‘[썰매 타기가] 꽤 좋았다’고 했다. 뉴욕에서 순록이 썰매를 끄는 데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없지만, 산타에게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 썰매를 끄는 동물을 떠올려도 용서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알래스카가 당연히 참고할 만했을 것이다. 아직 미국 영토는 아니었지만, 원주민들이 순록을 사용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었고, 산타의 썰매에 순록을 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루돌프의 등장
곧 순록의 수가 늘어났다. 1823년 12월 23일, ‘성 니콜라스의 방문(또는 ‘크리스마스 전날 밤’으로 알려짐)’이라는 시가 <뉴욕 센티널>에 실렸다. 나중에 클레멘트 찰스 무어의 작품으로 밝혀진 이 시에는 통통한 성 니콜라스가 대셔, 댄서, 프랜서, 빅슨, 코멧, 큐피드, 던더, 블릭섬이라는 이름의 여덟 마리 ‘작은 순록’이 끄는 썰매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는 모습을 묘사했다. 나중에 두 마리가 더 추가되었다. L.프랑크 바움의 이야기 <산타클로스의 생애와 모험>(1902)에서는 산타의 동료들이 다섯 쌍으로 구성되었다. 레이서와 페이서, 피어리스(Fearless)와 피어리스(Peerless), 플로시와 고시, 레디와 스테디, 펙리스와 스펙리스.
이 무렵 산타클로스는 유럽으로 다시 수출되었고, 그곳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속성을 가진 인물들과 점차 융합되었다. 그는 순록도 함께 데려갔다. 그러나 루돌프가 그의 팀에 합류한 것은 훨씬 나중의 일이다. 1939년 몽고메리 워드 백화점은 로버트 메이에게 크리스마스 기간 그들의 지점을 방문하는 아이들에게 줄 동화책을 써 달라고 의뢰했다. 메이의 이야기에서 루돌프는 새빨간 코 때문에 다른 순록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한다. 하지만 어느 해, 짙은 안개로 크리스마스 선물을 배달하기 어려워지자, 산타는 어둠 속에서 빛나는 루돌프의 코를 발견하고, 아홉 번째 동료가 되어 길을 밝혀 달라고 부탁한다. 처음에는 지역 경품 행사로 시작되었지만, 메이의 이야기는 큰 인기를 끌면서 만화(1948년)와 노래(1949년), 그리고 수많은 영화와 책에 영감을 주었다.
그 이후로 산타의 순록들은 수없이 많은 모습으로 재탄생했다. 그들은 이름이 바뀌고, 수는 늘거나 줄기도 했으며, 거의 모든 방식으로 변형되었다. 하지만 이제 순록 없는 산타를 떠올리는 건 불가능하다. 이번 크리스마스이브에 귀를 기울이면 지붕에서 순록의 울음소리가 들릴지도 모른다. ◼︎ (김명호 옮김)
저자 알렉산더 리(Alexander Lee)는 워릭대학교 르네상스 연구센터의 연구원이다. 펴낸 책으로 『마키아벨리: 그의 생애와 시대』(2020)가 있다.
-출처-
Alexander Lee. How Father Christmas Found his Reindeer. History Today. 12 December 2021.
-각주-
(1) 조지아 킹(Josiah King)은 17세기 영국의 작가로, 특히 "성탄절의 시험과 재판(The Examination and Tryal of Old Father Christmas, 1686)이라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크리스마스와 관련된 전통과 관습을 다루며, 특히 ‘아버지 크리스마스'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2) 저지대 국가(Low Countries)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오늘날의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그리고 때때로 인접한 프랑스와 독일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을 지칭한다. 이 명칭은 이 지역이 해수면보다 낮은 지대에 위치하고, 많은 부분이 해안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텍스트 > 역사-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식주의자의 등장 (1) | 2024.01.04 |
---|---|
슈테판 츠바이크의 <폭력에 대항한 양심> (0) | 2023.12.11 |
미국은 왜 사회주의에 적대적인가? (1) | 2023.12.09 |
처형: 형벌과 수치심 (0) | 2022.07.28 |
중세의 청소년들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