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판데믹2

의학의 소소한 최전선- 호흡기 바이러스들의 경쟁 20세기 초반에 발생했던 스페인 독감은 전 세계적으로 4000만에서 50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스페인 독감은 왜 그렇게 독성이 강했던 것일까? 보고서와 보존된 폐조직을 조사한 결과 사망의 대다수는 박테리아의 2차 침입에 따른 세균성 폐렴이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검토된 8000건 이상의 사례 중 단 4%에서만 박테리아 감염이 발견되지 않았다. 호흡기바이러스와 폐렴연쇄상구균의 협력이 인류에게 악몽을 가져온 것이었다. 지금까지 연구는 박테리아가 바이러스의 감염을 직접적으로 지원하진 않지만 바이러스의 여러 부분에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이유로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 3년 동안 겨울이면 찾아오는 불청객들은 팬데믹의 또다른 불안 요소였다. 그러나 강화된 개인 방역 때문.. 2023. 5. 15.
에이즈로부터 코로나 19에 대한 교훈을 얻다 “우리는 지금 인간 대 미생물의 역사적 싸움에 있어 또 하나의 치명적인 사건을 겪고 있습니다. 이 전투는 인류 진화와 역사의 흐름을 형성해 왔습니다.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적은 아주 작은 바이러스입니다.” 1985년 9월 26일 미 상원 분과위원회 앞에서 나는 이런 말을 했다. 나는 에이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지만, 오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모든 바이러스가 그런 것처럼 코로나바이러스는 전문적인 코드 파괴자(code cracker)다. 이 SARS-CoV-2(이하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분명 우리의 유전자를 깨트렸다. 자신의 생태적 틈새에서 적응하기 위해 계속해서 DNA 실험을 하는 영리한 생물학적 기계로서 바이러스를 생각해보자. 이 바이러스는 인간의 .. 2020. 12. 17.